콘텐츠로 건너뛰기

엔트레스토: 심부전 치료의 새로운 희망, 하지만 복용 전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심부전, 생각만 해도 숨이 턱 막히는 질환이죠. 심장은 우리 몸 구석구석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생명의 엔진과 같은 존재인데, 그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면 삶의 질은 물론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이러한 심부전 치료에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른 약물이 있습니다. 바로 엔트레스토입니다. 하지만 모든 약이 그렇듯, 엔트레스토 역시 정확한 정보 없이 무턱대고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이 글에서는 엔트레스토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복용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들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만약 이 글을 읽지 않고 잘못된 정보에 의존하여 엔트레스토를 복용할 경우,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나 치료 효과 저하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엔트레스토란 무엇인가요?

    엔트레스토는 노vartis에서 개발한 심부전 치료제로, 정확한 명칭은 사쿠비트릴/발사르탄입니다. 기존의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물과는 다른 새로운 기전으로 작용하여 심부전 환자의 심혈관 사망 위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엔트레스토는 두 가지 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 성분인 사쿠비트릴은 네프릴리신이라는 효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네프릴리신은 우리 몸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 BNP와 같은 물질들을 분해하는데, 사쿠비트릴은 이러한 이로운 물질들이 더 오래 작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두 번째 성분인 발사르탄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계열의 약물로, 혈관을 수축시키는 호르몬인 안지오텐신 II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고 심장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2. 엔트레스토는 언제 처방되나요?

    엔트레스토는 모든 심부전 환자에게 처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주로 좌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 중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해 처방됩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좌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 각 기관에 충분한 양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좌심실은 우리 심장에서 혈액을 전신으로 내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 좌심실의 수축 기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에게 엔트레스토가 처방될 수 있습니다.
    2. NYHA 기능분류 II-IV 단계 환자: NYHA 기능분류는 심부전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I부터 IV까지 총 4단계로 나뉘며, 숫자가 높을수록 심부전이 심각한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엔트레스토는 II, III, IV 단계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처방될 수 있습니다.
      • II 단계: 가벼운 신체 활동에도 피로, 호흡곤란, 심계항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
      • III 단계: 일상적인 활동에도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며,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는 단계
      • IV 단계: 안정을 취하고 있더라도 심부전 증상이 나타나며, 아주 작은 움직임에도 극심한 불편함을 느끼는 단계
    3. ACE 억제제 또는 ARB 계열 약물에 불내성을 보이지 않는 환자: 엔트레스토는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물과 함께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약물들에 과민 반응이나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 환자에게도 처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엔트레스토는 반드시 의사의 진단 및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조절해서는 안 됩니다.

    3. 엔트레스토의 효능은 무엇인가요?

    엔트레스토는 앞서 언급했듯이 심부전 환자의 심혈관 사망 위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효능들이 있을까요?

    1.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 감소: 엔트레스토는 심부전 증상을 완화시키고 질병의 진행을 늦춰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실제로 대규모 임상 시험 결과 엔트레스토를 복용한 환자들은 위약(가짜 약)을 복용한 환자들에 비해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감소: 엔트레스토는 심부전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인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에는 심근경색, 뇌졸중 등이 포함되며, 엔트레스토는 이러한 질환들의 발생 위험을 낮추어 심부전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삶의 질 개선: 엔트레스토는 심부전 증상을 완화시켜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들은 호흡곤란, 피로감, 부종 등 다양한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데, 엔트레스토는 이러한 증상들을 개선하여 환자들이 보다 편안하고 활동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엔트레스토 복용 시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엔트레스토는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지만, 모든 약이 그렇듯 복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1. 저혈압: 엔트레스토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므로, 저혈압이 있는 환자나 혈압약을 복용 중인 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특히 엔트레스토 복용 초기에는 어지럼증이나 현기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고칼륨혈증: 엔트레스토는 칼륨 수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나 칼륨 보충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주의해야 합니다. 고칼륨혈증은 근육 약화, 피로감, 불규칙적인 심장 박동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혈관부종: 엔트레스토는 드물지만 혈관부종이라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혈관부종은 얼굴, 입술, 혀, 목 등이 갑자기 부어오르는 증상을 동반하며, 호흡곤란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엔트레스토 복용 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응급실에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4. 임산부 및 수유부: 엔트레스토는 태아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임산부는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모유를 통해 아기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수유 중인 여성도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엔트레스토 복용 중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금주: 엔트레스토 복용 중 술을 마시면 약효가 감소하거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금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엔트레스토는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다른 질환으로 약을 복용 중인 경우 반드시 의사에게 해당 약물을 알리고 상담 후 복용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검진: 엔트레스토 복용 중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으로 혈압, 칼륨 수치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엔트레스토 복용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엔트레스토는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루에 2회 아침, 저녁으로 복용합니다. 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가 복용 횟수나 용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엔트레스토 복용 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면 도움이 됩니다.

    1. 의사의 지시 확인: 엔트레스토를 처방받았다면, 복용 전에 의사로부터 복용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어야 합니다. 복용량, 복용 횟수, 복용 시 주의사항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복용 시간 정하기: 엔트레스토는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 저녁 식사 시간이나 자기 전 등 자신에게 맞는 시간을 정해 규칙적으로 복용하면 약물 순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약 복용 여부 체크: 엔트레스토를 제때 복용했는지 잊지 않도록 달력에 표시하거나 스마트폰 알람 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4. 복용 중단 시 의사와 상담: 엔트레스토는 임의로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 부작용이나 다른 문제로 인해 복용을 중단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6. 엔트레스토의 부작용은 무엇인가요?

    엔트레스토는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지만, 모든 약과 마찬가지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저혈압: 엔트레스토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므로 어지럼증, 현기증, 실신 등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침: 엔트레스토 복용 후 마른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고칼륨혈증: 혈액 내 칼륨 수치가 높아져 피로감, 근육 약화, 불규칙적인 심장 박동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신장 기능 저하: 드물게 신장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 외에도 드물게 다음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관부종: 얼굴, 입술, 혀, 목 등이 갑자기 부어오르는 증상으로, 호흡곤란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간 기능 이상: 피로감, 황달,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엔트레스토 복용 중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사에게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7. 엔트레스토와 다른 심부전 치료제와의 비교

    엔트레스토는 기존의 심부전 치료제인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물과 비교하여 심혈관 사망 위험 감소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대규모 임상 시험 결과 엔트레스토는 ACE 억제제인 에날라프릴보다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엔트레스토는 ACE 억제제나 ARB 계열 약물보다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모든 심부전 환자에게 엔트레스토가 적합한 것은 아니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기존 치료제가 더 효과적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심부전 치료제 선택은 반드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심부전 중증도, 동반 질환, 약물 알레르기 여부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제를 선택하고 복용 방법을 결정할 것입니다.

    8. 엔트레스토 복용 후기

    엔트레스토를 실제로 복용한 환자들의 후기를 살펴보면, 대부분 호흡곤란, 피로감 등 심부전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또한, 활동량이 늘어나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말하는 환자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환자들은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엔트레스토 복용을 고려하고 있다면,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약물인지, 예상되는 효과와 부작용은 무엇인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엔트레스토에 대한 추가 정보

    엔트레스토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 대한심부전학회: https://www.kashfa.or.kr/
    • 식품의약품안전처: https://www.mfds.go.kr/

    결론적으로 엔트레스토는 좌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된 만성 심부전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하는 약물입니다. 하지만 모든 약과 마찬가지로 엔트레스토 역시 정확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용해야 하며, 잠재적인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엔트레스토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법인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 McMurray JJV, Packer M, Desai AS, et al. Angiotensin-neprilysin inhibition versus enalapril in heart failure. N Engl J Med 2014;371:993-1004.
    • Ponikowski P, Voors AA, Anker SD, et al. 2016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The Task Forc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Developed with the special contribution of the Heart Failure Association (HFA) of the ESC. Eur Heart J 2016;37:2129-2200.